긍정적 행동지원 계획8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촉진과 용암) 1. 촉진 촉진은 아동이 자극에 대해 바람직한 반응을 보이지 못했을 경우 바람직한 반응을 하도록 도와주는 부가적인 자극이다. 예를들어 아동이 주어진 과제의 수행방법을 모르거나, 어려워 하는 경우 필요한 만큼의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촉진은 자극 촉진과 반응 촉진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자극 촉진이란 변별 자극을 변화 시키거나 증가시켜 변별자극에 대한 단서를 주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아동이 바람직한 반응을 하도록 자극에 변화를 주거나 추가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자극 촉진은 자극내 촉진과 가외 자극 촉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자극내 촉진은 변별 자극을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주로 위치, 크기, 모양, 색깔 등에 변화를 주는 것을 말한다. 가외 자극 촉진은 다른 자극을 추가하거나, 변별자극에 대.. 2016. 11. 23.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집단강화체계 1. 집단강화체계의 정의 및 목적 집단강화체계란 소집단이나 대집단 학생 모두에게 동일한 강화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집단강화체계는 집단에 속해있는 모든 학생이 하나 이상의 목표행동을 향상 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2. 집단강화체계의 유형 집단강화체계는 독립적 집단강화, 상호의존적 집단강화, 의존적 집단 강화가 있다. 첫째, 독립적 집단강화란 모든 학생에게 동일한 과제를 제공한 후 과제를 수행한 학생에게만 강화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둘째, 상호의존적 집단강화란 각 집단에 동일한 과제를 부여한 후 과제를 수행한 집단에만 강화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집단 내 모든 학생이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셋째, 의존적 집단강화란 각 집단내의 대표자가 과제를 수행하면 강화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3. 집단강화체계의 장, 단점 .. 2015. 11. 15.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강화 1. 강화의 개념 강화란 어떠한 행동 뒤에 강화물을 제공해서 그 행동의 발생 빈도를 증가 시키거나 유지 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강화는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정적 강화란 어떠한 행동에 대해 바람직한 자극을 제공해서 행동을 증가 시키는 전략이다. 부적 강화란 어떠한 행동에 대해 혐오 자극을 제거해서 행동을 증가 시키는 것을 말한다. 강화는 강화물의 제공과 회수를 통해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 시키기 위해 강화물을 사용하는데 강화물에는 일차적 강화물과 이차적 강화물로 나눌 수 있다. 일차적 강화물은 학습되지 않는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강화자극으로서 음식, 음료 등의 먹는 것과 관련된 강화자극과 휴식, 취침 등의 감각적 강화자극이 있다. 이차적 강화물은 학습된 강화자극으로서 중립 자극이 일.. 2015. 10. 11.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대체기술교수 1. 대체기술교수의 개념 대체기술교수란 문제행동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바람직한 행동을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이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전략은 첫째 문제행동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대체기술을 가르쳐야한다. 둘째 특정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처하고 인내할 수 있게 가르쳐야한다. 셋째, 전반적 능력 향상을 위해 일반기술을 가르쳐야한다. 위의 세가지 전략은 대체기술 교수의 유형에서 자세하게 알아 보고자 한다. 대체기술을 선정할때는 아동이 이미 할 수 있는 행동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고 반응일치와 반응완성에 대해서도 고려해야한다. 이렇게 선정된 대체 기술을 교수하는 방법은 첫째, 문제행동이 발생하는 동일한 상황에서 대체기술을 가르쳐야한다. 둘째, 선행사건 중재와 연계해서 가르쳐야한다. 셋째, 문제행동 발생전에.. 2015. 10. 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