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86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강화 1. 강화의 개념 강화란 어떠한 행동 뒤에 강화물을 제공해서 그 행동의 발생 빈도를 증가 시키거나 유지 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강화는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정적 강화란 어떠한 행동에 대해 바람직한 자극을 제공해서 행동을 증가 시키는 전략이다. 부적 강화란 어떠한 행동에 대해 혐오 자극을 제거해서 행동을 증가 시키는 것을 말한다. 강화는 강화물의 제공과 회수를 통해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 시키기 위해 강화물을 사용하는데 강화물에는 일차적 강화물과 이차적 강화물로 나눌 수 있다. 일차적 강화물은 학습되지 않는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강화자극으로서 음식, 음료 등의 먹는 것과 관련된 강화자극과 휴식, 취침 등의 감각적 강화자극이 있다. 이차적 강화물은 학습된 강화자극으로서 중립 자극이 일.. 2015. 10. 11.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대체기술교수 1. 대체기술교수의 개념 대체기술교수란 문제행동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바람직한 행동을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이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전략은 첫째 문제행동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대체기술을 가르쳐야한다. 둘째 특정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처하고 인내할 수 있게 가르쳐야한다. 셋째, 전반적 능력 향상을 위해 일반기술을 가르쳐야한다. 위의 세가지 전략은 대체기술 교수의 유형에서 자세하게 알아 보고자 한다. 대체기술을 선정할때는 아동이 이미 할 수 있는 행동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고 반응일치와 반응완성에 대해서도 고려해야한다. 이렇게 선정된 대체 기술을 교수하는 방법은 첫째, 문제행동이 발생하는 동일한 상황에서 대체기술을 가르쳐야한다. 둘째, 선행사건 중재와 연계해서 가르쳐야한다. 셋째, 문제행동 발생전에.. 2015. 10. 9.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 개념 및 선행 배경 사건 중재 1. 긍정적 행동지원의 개념 긍정적 행동지원은 문제행동의 이유와 가설에 따라 아동 개인의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배경에 적합하고 종합적인 문제해결 접근 방법이다. PBS는 문제행동을 감소 시키고 아동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시키며 사회적 기술 향상 및 지역사회로의 성공적 참여를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선행 / 배경사건 중재 먼저 용어의 정의를 살펴보면 선행사건이란 문제행동을 일으킨 환경적 사건이나 상태, 자극을 말한다. 배경사건이란 문제행동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환경적 사건이나 상태, 자극을 말한다. 선행 / 배경사전 중재는 문제행동을 수정, 제거 시키고 긍정적 선행 / 배경사건을 도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각각의 중재를 살펴보면 선행사건 중재는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선행사건을 변화시키는 것이고, 배.. 2015. 10. 9. [학습장애] 판별 - 인지처리과정 결함 모델 인지처리과정 결함 모델은 학습장애를 진단할 때 학업성취도뿐 아니라 인지처리를 평가할 것을 강조하는 모델로서 인지적 처리과정 변인이나 교과 기본 학습 기능에서의 수행 정도를 바탕으로 개인 내, 개인 간 여타기능의 수행 정도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교과 학업성취의 차이를 얼마나 설명하는지 등을 확인하는 방법을 말한다. 인지처리과정 결함 모델은 세 가지 전제를 두고 있는데 첫째, 처리 과정상의 결함은 특정 교과 영역의 학습에 영향을 줘야한다. 둘째, 특정 처리과정상의 결함은 외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지 않는 개인 내적인 특징이다. 셋째, 처리과정은 다양한 측정방법을 통해 수행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위의 3가지 전제를 충족해야 학습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이 모델의 장점은 첫째, 불일치 모델과 비교되는 장.. 2015. 10. 3. 이전 1 ··· 17 18 19 20 21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