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문제행동수정

[문제행동수정] 정보수집(ABC관찰 기록지, ABC행동관찰 검목표, 행동의 기능평가 관찰지)

by drumchoa 2017. 5. 7.
반응형
1. ABC관찰 기록지
 ABC관찰 기록지는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문제행동의 선행사건, 문제행동, 후속결과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직접 관찰하여 기록하는 방법이다. 문제행동의 발생 장소, 시간, 선행사건, 후속결과, 언제, 어디서, 누구와 있을 때 발생 했는지 등의 정보를 알수 있고 그것들을 통해 문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문제행동을 기록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예를들어 문제행동을 기록하는 중에 아동의 문제행동이 발생했을 경우 빠르게 대응해서 그 문제행동을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2. ABC행동관찰 검목표
     ABC관찰 기록지를 업그레이드한 것이다.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문제행동의 선행사건, 문제행동, 후속결과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직접 관찰하여 기록하는데 ABC관찰 기록지와 다른 점이라면 ABC행동관찰 검목표는 선행사건, 문제행동, 후속결과를 미리 기록해 놓고 관련 행동이 나타나면 해당 행동에 체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ABC관찰 기록지보다 작성 시간이 짧기 때문에 문제행동을 기록하는 중에 아동의 문제행동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빠르게 작성할 수 있는 것 뿐이지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아동이 예상의 범주에서 벗어나 미리 작성해 놓은 행동 외의 행동을 할 경우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3. 행동의 기능평가 관찰지

       ABC행동관찰 검목표를 업그레이드한 것으로서 위의 두가지 방법에 비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다.

       선행사건, 문제행동, 후속결과를 미리 기록해 놓고 관련 행동이 나타나면 해당 행동에 체크하는데 ABC행동관찰 검목표와 다른 점이라면 행동의 기능평가 관찰지는 문제행동의 기능까지도 작성한다는 점이다. 이를통해 문제행동, 선행사건, 후속결과의 관련성을 알 수 있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문제행동의 기능을 작성하기 때문에 행동과 환경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위의 두가지 방법에 비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마찬가지로 아동이 예상의 범주에서 벗어나 미리 작성해 놓은 행동 외의 행동을 할 경우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