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문제행동수정

[문제행동수정] 정보수집 - 직접방법(평정기록)

by drumchoa 2017. 2. 14.
반응형
1. 평정기록의 정의

 평정기록이란 표적행동을 관찰한 후 평정수단을 사용해 행동의 특성, 정도, 유무를 판단해서 기록하는 것이다.


2. 평정기록의 유형

 평정기록의 유형에는 범주기록, 척도기록, 검목표가 있다. 첫째, 범주기록은 연속적으로 기술된 범주들 중 해당되는 범주를 선택하여 기록하는 방법이다. 여러가지 아동의 행동에 대한 여러가지 행동들이 기술되어 있고 그중에서 해당 되는 행동을 선택하는 것이다. 둘째, 척도기록은 행동의 정도를 표시한 척도 중 해당 숫자를 선택하여 기록하는 방법이다. 어떠한 행동에 대해 기록되어 있고 그 행동의 강도를 1~5까지의 숫자로 표시해놓고 그중에서 맞는 강도를 선택하는 것이다. 셋째, 검목표는 일련의 행동과 특성들의 목록에 행동 특성의 유, 무를 기록하는 방법이다. 어떠한 행동이 발생하게 되면 +로 표시하고 하지 않았다면 -로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3. 평정기록의 장단점

 평정기록은 많은 아동들이나 아동 집단의 행동을 평정하는데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상 능률적이고 간단하게 선택하거나 표시만 하면 되므로 여러가지 다른 행동들을 기록할 수 있다. 하지만 행동의 전후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고 관찰한 후에 기록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인해 관찰자간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