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의사소통장애

[의사소통장애] 언어의 구조(형태론)

by drumchoa 2017. 12. 17.
반응형

1. 형태론이란
 형태론은 형태소들이 결합해 낱말을 형성하는 체계이다. 쉽게 말해서 단어를 형성하는 규칙이 형태론이다. 

2. 형태소의 종류
 형태소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의미의 최소단위를 말한다. 형태소는 의미의 유무에 따라 실질형태소와 형식행태소로 나눌 수 있고 자립성의 여부에 따라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로 나눌 수 있다.

 다음은 의미의 유무에 따른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의 세부 내용이다.
 첫째, 실질형태소는 어휘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를 말한다. 예를 들어 ‘식물들’ 에서 ‘식물’은 어휘적 의미가 있는 실질 형태소이다. 하지만 어휘적 의미가 있는 실질형태소가 모두 독립적으로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졌어’의 ‘가’는 ‘갖다’ 라는 의미의 실질형태소지만 홀로 쓰이지 못한다.
 둘째, 형식형태소는 문법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를 말한다. 형식형태소는 독립적으로 쓸 수 없고 실질형태소와 결합해서 써야 한다. 예를 들어 ‘식물들’에서 ‘들’은 문법적 의미를 가졌지만 독립적으로 쓸 수 없고 실질형태소와 결합해야 쓸 수 있는 형식형태소이다.

 다음은 자립성의 여부에 따른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의 세부 내용이다.
 첫째, 자립형태소는 독립된 단어로 쓸 수 있는 형태소이다. 예를 들어 ‘철수는’에서 ‘철수'는 독립적으로 쓸 수 있는 자립형태소이다.
 둘째, 의존형태소는 독립적으로 쓸 수 없고 다른 형태소에 의존해 쓸 수 있는 형태소이다. 예를 들어 ‘철수는’에서 ‘는’은 독립적으로 쓸 수 없고 다른 형태소에 의존해야만 쓸 수 있는 의존형태소이다.

3. 형태소 발달
 첫째, 실질형태소를 문법형태소보다 먼저 습득한다.
 둘째, 어휘량이 늘어나면 낱말을 조합하게 되고 문법형태소가 나타난다.
 셋째, 장소격 문법형태소가 목적격, 도구격보다 먼저 나타난다.
 넷째, 부정부사는 ‘아니(안)’을 먼저 습득한다.
 다섯째, 대명사는 일인칭, 이인칭, 삼인칭 순서로 습득한다.
 여섯째, 동사의 어미는 서술형, 과거형, 미래형 순서로 습득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