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물학적 원인
생물학전 원인은 유전적 요인, 신경학적 손상(뇌의 구조 등)에 관련 됨
2. 정신분석 원인
부적절한 양육에 관련됨
3. 인지적 원인
인지적 원인에는 마음이론, 실행기능결함이론, 중앙응집이론이 있으며 임용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입니다.
마음이론이란? 상대의 마음을 추론하고 말과 행동을 이해하여 상대의 마음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자폐성 장애 학생의 경우 자신과 친구의 기분을 나타내는 얼굴표정을 잘 못 읽기 때문에 타인의 감정에 무감각 해지고 타인이 무엇을 아는지 알지 못하게 됩니다.
이러한 자폐성 아동의 마음이론 관련 중재에는 마음읽기 중재가 있는데 이 중재는 문제상황을 나타내는 그림이나 사진, 글 등을 사용해서 여러가지 표정들 중 아동이 생각하는 표정에 붙이게 하고 왜 그런 기분이 들었는지에 대해 답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교사가 아동의 마음에 대해서 알 수 있으며 아동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실행기능결함이론이란? 아동의 인지적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계획짜기, 충동 조절, 행동의 융통성에 결함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인지적 유연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뇌의 전두엽 손상에 의한 것으로 산만한 행동과 수업이나 과제에 대해 무관심한 행동을 보인다.
이러한 자폐성 아동의 실행기능결함이론 관련 중재는 인지전략, 인지기술을 가르치면 효과를 볼수 있다.
중앙응집이론이란?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을 말하는데 자폐성 장애 학생의 경우 전체보단 부분에 집착하게 되고 그로 인해 단일 자극에 초점을 맞추는 모습을 많이 보인다. 예를 들어 책을 읽을 때 제목-대주제-소주제-내용의 순서인 하향식 접근이 아니라 상향식 접근 방식을 주로 취하게 된다. 또한 문맥의 앞 뒤 단서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서가 필요한 동형이의어 같은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다.
이러한 자폐성 아동의 중앙응집이론 관련 중재는 전체보단 부분에 집착하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보단 중요한 내용만 선별해서 보여주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시각적 자료를 제공할 때는 시선을 뺏을 수 있는 부분이 많은 사진 보단 선화와 같은 시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John' Special Edu > 자폐성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스펙트럼장애] 인지적 원인(실행기능, 중앙응집이론) (0) | 2017.10.01 |
---|---|
[자폐스펙트럼장애] 인지적 원인(마음이해 능력) (0) | 2017.10.01 |
[자폐성 장애] 정의 및 분류 (0) | 2015.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