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자폐성 장애에 대한 장특법 정의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이 있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과 활동을 보임으로써 교육적 성취 및 일상생활 적응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라고 나타나있다.
2. 분류(DSM-5)
먼저 자폐성 장애에서 DSM-4와 DSM5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 보자. DSM-4에서는 광범위 발달장애의 하위분류에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레트 장애, 소아기 분괴성 장애, 비전형적인 전반적 발달장애로 분류하였으나 DSM-5에서는 레트 장애가 유전성 장애로 이동됐고 나머지 장애들은 자폐스펙트럼 장애로 통합 되었다.
DSM-5 내용은 다음과 같다.(요약한 자료임)
A. 다양한 상황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의사소통의 지속적 결함
-사회, 정서적 상호관계의 결함(비정상적인 접근, 정상적인 대화의 실패 / 관심, 정서, 감정 공유의 어려움 / 사회적 상호작용의 시작과 반응의 실패)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결함(비언어적, 언어적 의사소통 통합의 어려움 / 몸짓언어, 눈맞춤의 비정상성 / 몸짓 사용의 이해 결함 / 표정, 비구어적 의사소통 전체의 결여)
-관계의 발달과 유지 이해의 결함(다양한 사회적 상황에 맞는 행동 조절의 어려움 / 친구를 사귀고 가상놀이의 어려움 / 또래에 대한 흥미 결여)
B. 제한되고 반복적인 행동, 활동, 관심(적어도 2가지 이상)
-정형화되고 반복적인 움직임, 언어, 물건의 사용(단순한 정형화된 움직임 / 장난감 일렬로 놓기 / 물건 손가락으로 치기 / 반향어 / 기이한 어구)
-동일성에 대한 고집, 규칙적 일과에 집착, 의례화된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작은 변화 적응 못함 / 규칙적인 인사 / 사고 형태 전환의 어려움 / 매일 같은 음식 먹기, 같은 길 가기)
-강도 초점이 비정상적인 제한적 관심(비정상적 물건에 집착 / 제한되고 고정된 흥미)
-감각이 둔감하거나 과민함, 특정 측면의 환경에 비정상적 관심(통증, 온도에 둔감 / 특별한 소리, 질감에 거부 반응 / 냄새, 소리에 과도한 반응 / 빛, 움직임에 시각적 매혹)
C. 발달 초기에 나타나야함
D. 사회적 직업적, 현재 기능의 다른 중요한 부분에 임상적인 유의미한 손상을 나타냄
E. 지적 장애, 발달 지체로 설명되지 않는다. 지적 장애와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동시에 진단 받으려면 사회적 의사소통이 일반 발달 수준에서 낮아야 함
[주의]
-DSM-4에 의해 자폐증, 아스퍼거 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은 별도 근거 없이 자폐스펙트럼 장애로 진단하지 않음
-사회적 의사소통에 결함이 있지만 자폐스펙트럼 진단기준을 충족 못하면 의사소통 장애로 진단
'John' Special Edu > 자폐성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스펙트럼장애] 인지적 원인(실행기능, 중앙응집이론) (0) | 2017.10.01 |
---|---|
[자폐스펙트럼장애] 인지적 원인(마음이해 능력) (0) | 2017.10.01 |
[자폐성 장애] 원인 (0) | 2015.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