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시각장애

[시각장애] 특성(제한성, 신체 및 운동 발달, 인지발달)

by drumchoa 2017. 2. 25.
반응형

1. 제한성
 시각을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행에 큰 제한이 있다. 하지만 더욱 제한되는 것은 경험이다. 선천적으로 맹인 학생의 경우 시각적 경험이 전무하기 때문에 물건의 색, 거대한 산이나 건물의 크기 등 일반인은 평소에 전혀 인지하지 않아도 되는 시각 활용을 할 수 없다. 또한 촉각, 후각 등 잔존 감각을 활용해 환경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지만 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경험의 범위와 다양성에서 상당히 많은 제한성을 갖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시각장애 학생이 올바른 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 기회를 제공해야 하고 이때 잔존 시력, 촉각, 청각, 후각, 미각 등 잔존 감각을 이용해 지도하는 것이 좋다. 문자를 지도할 때는 촉각을 이용한 점자와 청각을 이용한 녹음, 음성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신체 및 운동 발달
 시각장애 학생은 능동적으로 주변 환경을 탐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기에 서있는 자세 유지, 혼자 걷기, 공간 속에서 신체를 조정하는 능력 등의 운동 발달이 지연되게 된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인과 같은 운동능력을 갖게 되지만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자세나 걸음걸이가 어색하고 자신감이 없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그밖에 대근육 협응이 어렵거나, 평형 반응에 어려움을 보이게 된다.
 그렇기 대문에 아동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움직이는 방법을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시각장애 학생이 촉각과 청각을 이용해 환경의 정보를 얻을 수 있게 지도해야 한다.

3. 인지발달
 일반적으로 장애라고 하면 지능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시각장애는 지능이 일반 학생과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경험의 부족으로 인한 영향은 있을 수 있다. 특히 개념형성이 지체되는데 이는 시각으로 얻을 수 있는 환경, 시간, 위협, 불안 등의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하기 어렵고 모방과 관찰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시각장애 학생이 대표적으로 어려워하는 개념은 공간개념, 신체 개념 대상의 영속성에 대한 개념 등이 있다.
 이러한 시각장애 학생을 교육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시각 결손을 보상해주는 것이다. 잔존 시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잔존 감각을 모두 활용해 학생이 개념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줘야 한다. 또한 시각장애가 인지발달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기교육을 반드시 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