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시각장애

[시각장애] 눈의 구조에 따른 시각장애의 원인(내막)

by drumchoa 2016. 10. 16.
반응형
1. 당뇨망막병증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에 의해 나타나며 시력저하와 합병증으로 녹내장이 될 수 있고 망막박리를 함께 일으킬 수 있다.

 당뇨망막병증의 학생은 당뇨조절치료를 위해 인슐린을 맞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감각이 둔해질 수 있다. 그래서 당뇨망막병증의 학생은 촉각을 이용한 교육보단 청각을 이용한 교육이 더욱 효과적이다.


2. 미숙아 망막증

 미숙아 망막증의 원인은 조산이다. 미숙아로 태어나 인큐베이터에서 고농도 산소공급을 받다가 인큐베이터 밖으로 나왔을 때 산소농도의 변화가 비정상적으로 혈관을 성장 시키고 이때에 눈의 조직에 상흔을 남김으로서 작은 충격에도 망막박리가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은 근시, 녹내장, 망막박리, 안구진탕, 전맹까지 나타날 수 있다.

 미숙아 망막증의 학생은 망막박리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머리에 충격이 갈 수 있는 활동은 지양해야하며, 증상에 따라 대/소근육 운동, 시지각 기술, 보행기술 등의 지도를 하는 것이 좋다.


3. 망막박리

 망막박리의 원인은 고도근시, 백내장 수술 등에 의해 발생하며 진행성으로서 망막의 일부분이 떨어지면서 주변의 망막들도 점차 떨어지게 된다. 떨어진 부분은 시야에 결손이 발생하고 중심부가 떨어진 경우 실명하게 된다.

 망막박리 학생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충격을 주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에서 충격을 줄 수 있는 활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4. 망막모세포종

 망막모세포종의 원인은 망막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나타난다. 대부분 유전성이며 증상은 편안성, 양안성이 있고 있고 흑암시 고양이 눈처럼 보인다.

 망막모세포종 학생은 안구를 적출하기 때문에 의안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의안을 사용하는 방법과 관리하는 방법을 가르치며 점자도 함께 가르치는 것이 좋다.


5. 망막색소변성

 망막색소변성의 원인은 유전이다. 증상은 진행성으로서 처음에는 주변시력이 저하되지만 점차 중심시력이 저하 되고 실명에 이르게 된다. 처음에는 주변시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터널시야가 나타난다. 또한 모든 시세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안경으로 교정할 수 없고,  간상체 수용기가 손상돼 야맹증도 나타난다.

 망막색소변성의 학생은 처음에 터널시야가 나타나기 때문에 눈을 이동하며 볼 수 있는 기술인 주사, 추시, 추적 기술을 가르쳐야 한다.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하면 야맹증으로 인해 암순응이 어렵기 때문에 학생이 야맹증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한다. 그리고 진행성으로 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점자 지도가 반드시 필요하며 보행을 위해 지팡이를 통한 보행훈련이 필요하다. 


6. 황반변성

 황반변성의 원인은 유전성과 노인성이 있다. 증상은 중심부에 암점이 나타나고 근거리 시력과 원거리 시력이 모두 좋지 않다. 진행성으로 직선이 흔들려 보이고 군데군데 지워진 것처럼 보이지 않다가 중앙부가 보이지 않게 되고 색각, 대비, 민감도에 영향을 준다. 진행성이지만 적절한 조치를 하면 실명까진 되지 않는다.

 황반변성의 학생은 중심암점이 발달되고 확대되기 때문에 중심외 보기 방법을 지도하고 독서할 때 줄을 잃지 않도록 타이포스코프, 마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7. 백색증

 백색증의 원인은 멜라닌 색소 결핍이다. 증상은 멜라닌 색소가 감소돼 머리카락, 피부가 희며 홍채, 동공, 안저는 붉은 빛을 보인다. 특히 피부가 매우 희기 때문에 자외선 노출시 심한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백색증 학생은 광택이 없는 표면을 사용해 빛이 표면에 반사돼 눈부심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전체 조명보다 낮은 개별 조명을 설치해주고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설치해주면 좋다. 야외에서는 색안경이나 차양이 있는 모자를 쓰게 하는 것이 좋다.


8. 추체 이영양증

 추체 이영양증의 원인은 망막의 중심부가 발달하지 못해 발생한다. 증상은 추체세포가 그 기능을 상실하고 간체세포는 밝은 곳에서 기능을 못하기 때문에 심한 수명, 안구진탕을 보인다.

 추체 이영양증 학생도 백색증 학생과 같이 광택이 없는 표면을 사용해 빛이 표면에 반사돼 눈부심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전체 조명보다 낮은 개별 조명을 설치해주고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설치해주면 좋다. 야외에서는 색안경이나 차양이 있는 모자를 쓰게 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