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학습장애

[학습장애] 판별 - 불일치 모델

by drumchoa 2015. 10. 3.
반응형

불일치 모델은 간단하게 말해서 성취와 잠재능력의 불일치를 통해 학습장애를 판별하는 것을 말한다. 이 모델은 학년수준 편차공식, 표준점수 비교공식, 회귀공식의 3가지 대표 공식이 있다.


 첫째, 학년수준 편차공식은  기대되는 학년 수준(잠재력)과 실제 학년 수준 간의 차이를 산출하여 불일치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공식은 계산이 용이하여 학습장애 진단에 쉽게 사용가능하고,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고 적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지만, 학생의 지능과는 상관 없이 생활연령만 근거하여 기대학년 수준을 산출하기 때문에 지능 이 낮은 학생이 학습장애로 과잉 판별될 수 있고, 검사도구마다 학년규준 점수나 연령규준 점수의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측정적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둘째, 표준점수 비교공식은  지능지수와 학업성취 점수를 표준점수로 변환하여 두 점수를 비교하는 공식으로 두 점수를 직접 비교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공식은 지능검사와 성취검사 각각의 표준점수를 비교하기에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지능과 성취도 간의 완전 상관관계를 전제로 해야 하는데 실제 임상 사례에서는 그런 경우가 없고, 검사의 측정 오차로 인해 많은 학생이 학습장애로 잘 못 진단 될 수 있고, 평균으로의 회귀현상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셋째, 회귀공식은 지능검사 점수에 대해 회귀방정식을 사용해서 기대되는 성취수준을 계산한 후 실제 성취 수준과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이 공식은 다른 공식에 비해 전체 지능지수 범위에 걸쳐 비교적 골고루 학습장애 학생을 판별할 수 있는 방식이지만, 통계적 복잡성으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상관계수가 제시 되지 않아 추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불일치 모델의 전체적인 문제점은 지능검사 자체의 신뢰성 문제로 인해 진단 검사의 일관성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지능검사는 언어 능력이 지능검사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어 지능점수가 낮게 나와 지적장애로 오진될 확률이 높다. 또한 지능과 학업성취간의 완벽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에 문제가 많을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