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역동적 모델 중재1 [정서행동장애] 심리역동적 모델(관점 및 중재) 심리역동적 모델에서 바라보는 정서행동장애는 정서적 미성숙이나 지체로 보고 있다. 각 단계에서 완성하지 못한 과제가 있고 이를 충족 시키지 못해 불안요소로 무의식중에 남게되고 시간이 흐른 후 무의식에 있던 불안요소가 터져버리는 것이 정서행동장애로 나타난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심리역동적 모델의 평가방법은 앞서 얘기한 투사적 기법과 자기 보고식 검사가 있다. 심리역동적 모델의 중재 방법은 심리치료, 현실치료, 집단중재, 환경치료, 생활공간 면접법, 정서교육 등이 있다. 첫째, 심리치료란 자신 내면의 무의식적 내용을 인정하는 능력을 향상 시키는 것이다. 둘째, 현실치료란 아동에게 나타난 문제행동의 책임은 아동에게 있고 그것을 아동 스스로 바꿔갈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아동이 스스로 자신의 욕구를 충족 시킬 .. 2017. 9.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