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격기록의 산출식1 [문제행동수정] 정보수집 - 직접방법(간격기록) 1. 간격기록의 정의 간격기록이란 정해진 관찰 시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간격별로 표적행동의 발생이나 지속여부를 기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표적 행동의 발생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방법이지 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그러한 행동이 발생했는지 기록하지는 않는다. 2. 간격기록의 장단점 간격기록의 장점은 첫째, 관찰 시간을 간격으로 나누기 때문에 아동의 행동과 시간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도움이 된다. 둘째, 비교적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셋째, 관찰자가 서로 다른 분석을 한 경우 간격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관찰자간 신뢰도를 점검하는데 용이하다. 간격기록의 단점은 첫째, 아동 행동의 형태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선행사건과 후속결과를 알 수 없다. 둘째, .. 2017. 2. 6. 이전 1 다음